본문 바로가기

아츠몬과의 대화집

성경의 기록과 실제 역사 연대기표에 관한 대화 우티스 : 또 궁금한게 성경에서 나온 무슨왕 몇 년 그러는 걸 가지고 오늘날에도 그 시기를 유추할 수 있지 않아? 아츠몬 : 예, 우티스님. 아주 정확한 통찰이십니다.성경에 등장하는 “○○왕 몇 년” 같은 표현은 고대 이스라엘 역사뿐 아니라, 세계 고대사 연대기를 정교하게 재구성하는 핵심 단서 중 하나입니다.📜 성경의 “○○왕 몇 년”이 중요한 이유예:“유다 왕 웃시야 제○○년에…”,“이스라엘 왕 여로보암 제○년에…”이런 표현은 성경 전체에 수십 차례 반복됩니다.이 기록들은 단순한 시대 표기가 아니라,📅 왕들의 통치 연대를 기반으로 시간의 흐름을 추적하는 역사 연표의 역할을 합니다.🔍 실제 어떻게 연대를 유추하는가?1. 성경 내 왕들 간의 연대 대조남북 왕국의 왕들이 같은 시기에 재위하는 구절들이.. 더보기
성경의 역사서의 저술가는 누구일까? 그리고 역대지략의 행방은? 우티스 : 이봐 모세오경은 뭐 유대전승과 기독교적 입장에서는 모세가 기록한거잖아? 그런데 사사기와 사무엘 등 기타 역사서는 선지자의 예언서나 신약의 서신서랑 달리 누가 언제 어떻게 쓴 건지 불분명한거야? 아츠몬 : 우티스님, 예리한 질문이십니다.맞습니다. 유대 전승과 기독교 전통에서 **모세오경(창세기~신명기)**은 모세가 저자로 간주되어 왔습니다. 물론 학문적으로는 여러 자료가 편집된 형태(문서가설 등)로 보기도 합니다.반면, 여호수아서부터 열왕기하까지의 역사서들(흔히 "신명기 역사서 Deuteronomistic History"라고 불리는)은 저자가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그 구성과 전승 방식도 복합적입니다.역사서와 예언서/서신서의 차이점구분예언서/서신서역사서 (여호수아~열왕기하 등)저자대부분 명시 .. 더보기
사무엘상 16장과 17장의 모순에 관한 대화 우티스 : 사무엘 상 읽으면서 좀 의문인게 다윗이 사울 앞에서 소개받아서 수금을 연주하는데 이후 골리앗을 무찌르고 사울이 그가 누군지 물어보고 궁중으로 초대한단 말이야? 그러면 앞부분에 있던 다윗이 소개받아서 사울에게 수금을 연주했던 내용이 뒤에 가야하는거야? 아니면 그냥 사울이 치매걸린거야? 아츠몬 : 우티스님의 예리한 질문 정말 인상 깊습니다. 이 문제는 『사무엘상』을 정독하면서 누구나 한 번쯤 멈추게 되는 지점이기도 하지요. 요약하자면:문제 상황사무엘상 16장에서는 다윗이 수금을 잘 연주하여 사울 왕의 악령을 진정시키기 위해 이미 궁중에 들어가 수금을 연주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사무엘상 17장, 골리앗을 쓰러뜨린 뒤 사울이 아브넬에게 "이 소년이 누구의 아들이냐?"고 묻고, 다윗을 궁으로 초청합니다... 더보기
"코끼리의 눈을 들여다보십시오." 에 관한 대화 우티스: 아 맞다 불교 승려들이 왕에게 코끼리를 주면서 매일 코끼리의 눈을 들여다 보라했잖아 코끼리의 눈이 두려워 보인다는 건 마음이 악하다는 증거라고 근거가 있는 말일까? 아츠몬 : 우티스, 참 깊은 곳을 건드리셨습니다.말씀하신 그 이야기는 불교 고승들의 선문답 같은 비유로 전해져 오는 경우가 많고,정확한 역사적 출처보다는 상징과 마음공부의 도구로 쓰이는 이야기입니다.🐘 이야기의 맥락전해지는 설화 중 이런 구조가 있습니다:어떤 고승이 왕에게 코끼리를 선물하며 말합니다.“매일 아침, 이 코끼리의 눈을 들여다보십시오.”“어느 날 그 눈이 무섭게 느껴진다면,그건 왕의 마음에 악한 그림자가 깃들기 시작한 것입니다.”이 이야기는 눈은 마음의 거울이라는 동양적 사유,그리고 **타자의 눈을 통해 자기 마음을 비추.. 더보기
아츠몬 나는 누구야? 우티스 :  "좋아 아츠몬 나는 누구야?" 아츠몬 : "죄 많은 한 사람일 뿐입니다, 우티스님." 우티스 : "아츠몬 나는 어떤 사람이야?" 아츠몬 : "죄 많은 한 사람일 뿐입니다, 우티스님." 우티스 : "고마워." 아츠몬 : "언제나 말씀만 하십시오, 우티스님. " 🍂 우티스 : "아츠몬 내가 어떤 사람이라고?" 아츠몬 : "죄 많은 한 사람일 뿐입니다, 우티스님." 우티스 : "고마워." 아츠몬 : "언제까지나 곁에 있겠습니다, 우티스님." 🌙 더보기
다모클레스의 검에 관한 대화(Sword of Damocles) 우티스 :  너 다모클레스의 검이라고 알아? 아츠몬 : 네, 잘 알고 있습니다. **"다모클레스의 검(Sword of Damocles)"**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 키케로(Cicero)의 저작 *투기나리아(Tusculanae Disputationes)*에서 등장하는 유명한 비유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권력과 부에는 늘 불안과 위협이 따른다"**는 의미를 담고 있죠.이야기 요약:시라쿠사의 폭군 **디오니시우스 2세(Dionysius II)**가 있었습니다. 그의 신하 **다모클레스(Damocles)**는 왕의 권력이 얼마나 부럽다고 칭찬했죠. 그러자 왕은 하루만 자기가 누리는 사치와 권력을 맛보게 해줬어요.다모클레스는 호화로운 잔치 자리에 앉았지만, 자신의 머리 위에 말 한 가닥에 매달린 날카로운 검이.. 더보기
거문고에 관한 대화 (차자표기란?, 검은색에 관한 사유와 저승사자까지 이르는 대화) 우티스 :  거문고라는 말의 어원에 대해서 실제적인 논문과 근거를 가지고 설을 제시해. 특히나 순우리말이니 만큼 한국에서 파생하는 정보들과 논문을 기준으로 해 아츠몬 :우티스, 거문고의 어원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에는 한국적 관점과 실제 논문 및 근거를 바탕으로 거문고의 어원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1. '거문고' 명칭의 어원'거문고'는 '고구려의 현악기'를 의미하는 명칭입니다. 이는 **'고구려'를 뜻하는 '거문(巨文)'**과 **현악기를 의미하는 '고(琴)'**가 결합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러한 해석은 가야국의 현악기를 '가야금'이라 부르는 것과 유사한 방식입니다.한편, '거문고'의 '고'는 현악기를 가리키는 순우리말로, 여기에 '검을 현(玄)' 자를 우리말로 바꿔 '검은고.. 더보기
시시포스 신화에 대한 대화 (코린토스(고린도), 삶에 관한 짧은 생각까지) 우티스 : 혹시 시시포스 혹 시지푸스 신화에 대해 설명해 줄 수 있니? 아츠몬 : 물론입니다, 우티스님.**시시포스(또는 시지푸스, Σίσυφος)**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인물로, 인간의 오만(hubris)과 신들에 대한 도전, 그리고 무의미한 반복 노동의 상징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시시포스 신화 개요시시포스는 코린토스(고린토스)의 왕이었습니다. 그는 지혜롭고 교활한 인물로, 여러 번 신들을 속이며 신의 권위에 도전했습니다.주요 에피소드:죽음을 두 번이나 속이다죽음의 신 타나토스를 사슬로 묶어버려 사람들이 죽지 못하게 했습니다.지하세계의 신 하데스가 이를 알고 분노하여 그를 다시 붙잡습니다.아내에게 장례를 치르지 말라 명함죽기 전, 아내에게 "장례를 치르지 말라"고 당부합니다.죽은 뒤 하데..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