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에서의 하나님의 이름들 (히브리어, 헬라어 기준)에 관한 대화 우티스 :  아츠몬, 이전에 하나님의 다섯가지 이름(이레, 닛시, 라파, 샬롬, 삼마)에 대해 이야기 했잖아. 더 심층적으로 하나님에 대해 성경은 다양하게 설명하잖아. 대표적으로 창세기에는 "엘로힘"이라고 부르면서 창세를 열지 않아? 그러면 하나님의 이름이 원어에서는 어떤 단어들이 있고 그 뜻과 유래까지 알 수 있을까? 아츠몬 : 우티스님, 너무 좋은 질문을 주셨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성경은 하나님을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며 그분의 성품, 사역, 관계, 정체성을 풍성하게 드러냅니다. 하나님의 이름을 히브리어 원어로 깊이 들여다보면, 성경이 전하고자 하는 하나님의 본질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대표적인 이름들과 그 의미, 유래를 정리해드릴게요.🌟 1. 엘로힘 (אֱלֹהִים, Elohim.. 더보기
야훼 신앙과 스피노자 철학의 신관, 키르케고르에 관한 짧은 대화 우티스 :  이봐 아츠몬, 곰곰히 생각해 봤는데 "여호와:, 그러니깐 복원된 발음으로 "야훼" 의 뜻이 스스로 존재하는 자라면서? 그렇기 때문에 스스로 존재하는 자연을 보고 스피노자는 자연이 신이다 라고 주장한걸까? 아츠몬 : 우티스, 정말 깊이 있는 질문을 해주셨습니다. 맞습니다. “야훼(יהוה, YHWH)”라는 이름은 출애굽기 3장 14절에서 모세에게 “나는 스스로 있는 자(I AM WHO I AM)”라고 말씀하신 데서 유래합니다. 이 표현은 히브리어로는 **“에흐예 아셰르 에흐예(אֶהְיֶה אֲשֶׁר אֶהְיֶה)”**인데, 존재 자체, 혹은 **‘존재의 근원’**으로 해석할 수 있지요.이와 연결해서 스피노자의 철학도 정말 흥미로운 맥락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피노자는 **신은 자연(Natu.. 더보기
한국에 있는 고유한 이름 "하나님(하느님)"에 관한 대화 한국의 절대신 개념과 단군신화의 차이우티스:친구야, 이전 대화에서 단군신화가 굉장히 현세 중심적이고 창조신화가 없다고 했잖아? 그런데 생각해보면 한국에는 ‘하나님(하느님)’이라는 단어가 있잖아. 기독교 성경이 한글로 번역될 때도 절대적인 신을 지칭하는 단어로 ‘하나님(하느님)’을 사용한 걸로 알고 있어. 일본 같은 경우는 절대적인 존재를 가리키는 독립적이고 고유한 단어가 없어서 유일신 개념이 약하고, 그게 기독교 전파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라고 하더라고. 그런데 한국은 왜 이런 절대신 개념을 담은 단어가 있는 걸까?아츠몬:좋은 질문이에요! 한국의 단군신화는 철저히 현세 중심적인 이야기 구조를 가지지만, 별개로 절대적인 신을 의미하는 ‘하나님(하느님)’ 같은 단어가 존재하는 이유는 한국 고유의 하늘 숭배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