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츠몬 :
우티스님, 너무 좋은 질문을 주셨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성경은 하나님을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며 그분의 성품, 사역, 관계, 정체성을 풍성하게 드러냅니다. 하나님의 이름을 히브리어 원어로 깊이 들여다보면, 성경이 전하고자 하는 하나님의 본질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대표적인 이름들과 그 의미, 유래를 정리해드릴게요.
🌟 1. 엘로힘 (אֱלֹהִים, Elohim)
- 의미: 하나님(강하신 분, 창조자, 통치자)
- 사용처: 창세기 1:1 “태초에 **하나님(엘로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 특징: 복수형인데 단수처럼 사용됨 → 삼위일체의 암시로 해석되기도 함
- 유래: ‘엘(El, 신)’이라는 고대 셈족어 단어에 복수형 ‘-임’이 붙은 형태
🔥 2. 야훼 (יהוה, YHWH, 여호와)
- 의미: 스스로 존재하시는 분 (“나는 스스로 있는 자니라”, 출 3:14)
- 사용처: 모세가 하나님을 광야 떨기나무 가운데 만났을 때 처음 계시됨
- 유래: 히브리어 동사 “하야(היה, to be)”에서 파생
- 특징: 유대인들은 너무 거룩한 이름이라 입에 올리지 않고 ‘아도나이’(주)라고 대체해 읽음
🏹 3. 엘 샤다이 (אֵל שַׁדַּי, El Shaddai)
- 의미: 전능하신 하나님, 능력의 근원이신 분
- 사용처: 창세기 17:1 –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나는 전능한 하나님이라”
- 유래: ‘샤다이’는 “가슴(양육)” 혹은 “파괴하다(지배)”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는 두 견해가 있음
- 의미 강조: 보호, 공급, 돌봄의 하나님
⚔️ 4. 야훼 니시 (יְהוָה נִסִּי, YHWH Nissi)
- 의미: 나의 깃발, 승리의 하나님
- 사용처: 출애굽기 17:15 – 아말렉과의 전쟁 후 모세가 제단을 쌓고
- 의미 강조: 하나님은 우리 전쟁의 승리자이심
🕊️ 5. 야훼 샬롬 (יְהוָה שָׁלוֹם, YHWH Shalom)
- 의미: 평강의 하나님
- 사용처: 사사기 6:24 – 기드온이 두려움 중에 주님의 임재를 체험한 후
- 의미 강조: 하나님은 내면의 두려움을 평강으로 다스리시는 분
🌿 6. 야훼 이레 (יְהוָה יִרְאֶה, YHWH Yireh)
- 의미: 준비하시는 하나님 (또는, 보시는 하나님)
- 사용처: 창세기 22:14 – 아브라함이 이삭 대신 제물로 숫양을 받고
- 의미 강조: 우리 필요를 아시고 미리 준비하시는 분
💉 7. 야훼 라파 (יְהוָה רֹפְאֶךָ, YHWH Rapha)
- 의미: 치료하시는 하나님
- 사용처: 출애굽기 15:26 – “나는 너희를 치료하는 여호와라”
- 의미 강조: 육체적·정신적·영적 치유의 하나님
🏠 8. 야훼 삼마 (יְהוָה שָׁמָּה, YHWH Shammah)
- 의미: 거기 계신 여호와 (임재의 하나님)
- 사용처: 에스겔 48:35 – 새 예루살렘 성의 이름이 “여호와 삼마”라
- 의미 강조: 하나님은 항상 우리와 함께 계심
🌌 9. 엘 엘리온 (אֵל עֶלְיוֹן, El Elyon)
- 의미: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
- 사용처: 창세기 14:18 – 멜기세덱이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께 축복함
- 의미 강조: 하나님의 주권성과 초월성
🌎 10. 엘 올람 (אֵל עוֹלָם, El Olam)
- 의미: 영원하신 하나님
- 사용처: 창세기 21:33 – 아브라함이 ‘영원하신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더라’
- 의미 강조: 시간과 세대를 초월하는 영원성
이 외에도 "아도나이(주)", "로이(나를 보시는 하나님)", "미카데쉬켐(거룩하게 하시는 하나님)" 등의 이름들이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각 이름에 대한 성경 인용문 전체, 주해적 해석, 신학적 논의도 확장해서 정리해드릴 수 있습니다. 혹시 어느 이름이 더 궁금하시거나, 이 내용을 바탕으로 설교문이나 묵상글로 정리해드릴까요?
우티스 :
아츠몬 :
우티스님, 아주 좋은 흐름으로 질문을 이어가 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처럼 구약은 히브리어, **신약은 헬라어(코이네 그리스어)**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신약에서는 하나님의 이름과 정체성이 조금 다른 방식으로 표현됩니다. 하지만 여전히 구약에서의 하나님의 속성과 연결된 표현들이 많습니다.
아래에 신약에서 하나님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헬라어 표현과 그 뜻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신약 성경에서의 하나님의 이름 (헬라어 표현)
1. θεός (Theos) – “하나님”
- 의미: 전능하신 하나님, 유일하신 신
- 구약의 ‘엘로힘’에 해당하는 표현
- 사용 예시: 요한복음 1:1 –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은 곧 **하나님(θεός)**이시니라.”
- 특징: 신약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하나님의 칭호
2. κύριος (Kyrios) – “주, 주님”
- 의미: 주권자, 주인
- **구약의 ‘야훼(YHWH)’**를 대체하여 사용된 표현
- 예시: 로마서 10:9 – “예수를 **주(κύριος)**로 시인하면 구원을 받으리라”
- 의미 강조: 예수 그리스도를 ‘주’로 부름으로, 예수님이 곧 하나님이심을 고백함
- 주의: 당시 로마 황제를 “주(Kyrios)”라 부른 것과 대조되어,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고백은 정치적 반항이기도 했습니다.
3. πατήρ (Patēr) – “아버지”
- 의미: 친밀한 관계로서의 하나님
- 예시: 마태복음 6:9 –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주기도문)
- 특징: 예수님이 하나님을 ‘아버지’라 부르며 제자들에게도 그렇게 부르게 하심
- 유대인에게는 혁명적 표현이었음 →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부를 수 있는 관계 강조
4. ἀββᾶ (Abba) – “아빠”
- 의미: 어린아이가 부르는 ‘아빠’에 가까운 친밀한 표현
- 예시: 마가복음 14:36 – 예수님이 겟세마네에서 “아빠, 아버지(Ἀββᾶ ὁ πατήρ)”라고 기도
- 특징: 히브리어의 아람어 표현이 그대로 헬라어에 포함된 형태
- 신약에서 세 차례만 등장: 마가복음 14:36, 로마서 8:15, 갈라디아서 4:6
5. παντοκράτωρ (Pantokratōr) – “전능자, 모든 것을 다스리시는 분”
- 의미: 전능하신 하나님 (전능성 강조)
- 예시: 요한계시록 1:8 – “나는 알파와 오메가라 … 주 하나님이 이르시되 지금도 있고 전에도 있었고 장차 올 자요 전능한 자(παντοκράτωρ) 라 하시더라”
- 특징: 요한계시록에서 자주 등장 (계 4:8, 11:17 등)
6. ὁ ὤν (Ho Ōn) – “스스로 계신 자”
- 의미: 구약 출 3:14의 “나는 스스로 있는 자니라”의 헬라어 표현
- 예시: 요한계시록 1:8 – “지금도 있고 전에도 있었고 장차 올 자”
- 특징: 야훼의 존재적 자기 계시를 계시록에서 헬라어로 재현한 것
7. σωτήρ (Sōtēr) – “구세주”
- 의미: 구원자, 구세주
- 예시: 디도서 3:6 –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 **구주(σωτήρ)**를 풍성히 부어주셨느니라”
- 특징: 신약에서는 예수님을 가리키는 말로 자주 쓰이며, 하나님의 구원적 성품을 드러냄
📌 요약하면
하나님 | Theos | 유일신, 엘로힘 | 엘로힘 |
주 | Kyrios | 주권자, 주님 | 야훼 |
아버지 | Patēr | 인격적 관계 | 아브라함의 하나님 등 |
아빠 | Abba | 친밀한 부름 | 없음 (아람어 직접 사용) |
전능자 | Pantokratōr | 모든 것을 다스리심 | 엘 샤다이 |
구세주 | Sōtēr | 구원자 | 여호와 라파, 여호와 이레 등 |
스스로 있는 자 | Ho Ōn | 존재하는 이 | 야훼 (I AM) |
우티스님, 원하신다면 이 내용을 신약과 구약의 하나님의 이름 비교 도표로 제작해드릴 수도 있고, 신학적 주석 형태로 정리해서 묵상이나 강의 자료로 구성해드릴 수도 있습니다. 어떻게 활용하고 싶으신가요? 😊
우티스 :
아츠몬 :
물론입니다, 우티스님. 요청하신 대로 **히브리어(구약)**와 **헬라어(신약)**에서 사용된 하나님의 이름들을 비교한 도표를 만들고, 각 이름에 한글식 발음, 의미, 그리고 관련 성경 구절도 함께 정리해드렸습니다.
📊 하나님의 이름 비교 도표 (히브리어 vs 헬라어)
히브리어 | 헬라어 | ||||||
1 | אֱלֹהִים | 엘로힘 | 하나님, 창조주 | θεός | 테오스 | 하나님, 유일신 | 창 1:1 / 요 1:1 |
2 | יְהוָה | 야훼 / 여호와 | 스스로 계신 자 | κύριος | 퀴리오스 | 주, 주님 | 출 3:14 / 롬 10:9 |
3 | יְהוָה יִרְאֶה | 여호와 이레 | 준비하시는 하나님 | — | — | — | 창 22:14 |
4 | יְהוָה רֹפְאֶךָ | 여호와 라파 | 치료하시는 하나님 | σωτήρ | 소테르 | 구세주 | 출 15:26 / 딛 3:6 |
5 | יְהוָה נִסִּי | 여호와 닛시 | 나의 깃발, 승리자 | — | — | — | 출 17:15 |
6 | יְהוָה שָׁלוֹם | 여호와 샬롬 | 평강의 하나님 | — | — | — | 삿 6:24 |
7 | יְהוָה שָׁמָּה | 여호와 삼마 | 거기 계신 하나님 | ὁ ὤν | 호 온 | 스스로 있는 자 | 겔 48:35 / 계 1:8 |
8 | אֵל שַׁדַּי | 엘 샤다이 | 전능하신 하나님 | παντοκράτωρ | 판토크라토르 | 전능자 | 창 17:1 / 계 4:8 |
9 | אֵל עֶלְיוֹן | 엘 엘리온 |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 | — | — | — | 창 14:18 |
10 | אֵל עוֹלָם | 엘 올람 | 영원하신 하나님 | — | — | — | 창 21:33 |
11 | רֹאִי | 엘 로이 | 나를 보시는 하나님 | — | — | — | 창 16:13 |
12 | אָב | 아브 | 아버지 | πατήρ | 파테르 | 아버지 | 사 63:16 / 마 6:9 |
13 | — (아람어) | 아바 | 아빠 | ἀββᾶ | 압바 | 아빠, 친밀한 부름 | 막 14:36 / 롬 8:15 |
✅ 비고
- 히브리어의 복합적 이름들(예: 여호와 이레, 샬롬 등)은 헬라어 성경에서는 직접적인 대응어가 존재하지 않지만, 신약 전체 메시지 안에서 그 의미들이 확장되고 성취됩니다.
- 신약에서는 특히 예수님을 **"퀴리오스(주)", "소테르(구세주)", "하나님의 아들"**로 부르면서 구약의 하나님 묘사를 예수님에게로 확장시킵니다.
그러니까요, 우티스님! 정말 놀라운 우연이자 묵상할 거리예요 😊
**헬라어 성경에 나오는 “ἀββᾶ(압바)”**는 사실 히브리어의 방언인 아람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어린아이가 부르는 친밀한 표현, 말 그대로 "아빠" 또는 "아버지, 아버지" 정도로 해석됩니다. 그런데 한국어의 “아빠”와 발음이 거의 동일하다는 건 정말 흥미롭죠!
실제로 이 ‘Abba’라는 표현은 어린아이들이 쉽게 발음할 수 있는 음절 구조라서, 전 세계 여러 언어에서 '아빠'를 비슷하게 발음하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면:
아람어 / 히브리어 방언 | 아바 (Abba) |
한국어 | 아빠 |
영어 | Daddy / Papa |
스페인어 | Papá |
이탈리아어 | Papà |
프랑스어 | Papa |
독일어 | Papa |
러시아어 | Папа (Papa) |
이걸 보고 있으면 마치 ‘부성애’라는 공통 언어가 인류 안에 심겨져 있는 것 같은 감동도 듭니다.
게다가, 예수님께서 겟세마네에서 **“Abba, Father(아빠, 아버지)”**라고 부르신 그 장면은 단지 신학적이기 이전에 존재 깊숙한 곳에서 울리는 외침처럼 느껴지기도 해요.

'아츠몬과의 대화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시포스 신화에 대한 대화 (코린토스(고린도), 삶에 관한 짧은 생각까지) (0) | 2025.04.01 |
---|---|
성경(성서)에 나오는 천사에 관한 대화(케루빔과 세라핌, 앙겔로스, 엔젤, 또 칠십인역 성경 언급) (0) | 2025.03.30 |
여호와의 다섯 복합 명칭. 이레, 닛시, 라파, 샬롬, 삼마 (0) | 2025.03.26 |
하나님의 이름-야훼(YHWH)에 관한 대화 (0) | 2025.03.26 |
야훼 신앙과 스피노자 철학의 신관, 키르케고르에 관한 짧은 대화 (2)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