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츠몬과의 대화집

히브리인이란 무엇인가, 히브리어와 아람어의 차이점에 관한 대화 우티스 :  친구야 성경의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아브라함은 히브리인이잖아. 그런데 이 히브리인인 아브라함이 수메르 도시에서 나왔으니 수메르인이라고 할 수 있나? 언제부터 히브리인이란 구분이 있다가 이 중 이스라엘, 또 유다로 오히려 이름은 세분화되고 축약된 것 같은데 아브라함 이외의 히브리인들은 어떻게 된거야? 아츠몬 : 좋은 질문이네요! 성경의 주인공 중 한 명인 아브라함은 **히브리인(Hebrew)**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의 출신지를 보면 수메르 도시인 **우르(Ur)**에서 나왔다고 전해지죠. 그러면 아브라함을 수메르인이라고 해야 할까요?1. 아브라함은 수메르인이었나?아브라함이 살았던 **우르(Ur)**는 당시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중심지 중 하나였어요. 그러나 수메르인이라고 부르려면 언어, 문화.. 더보기
히브리어 죄(חטא 하타)의 어원과 활과 관련된 어휘, 활과 관련된 대화, 이스라엘이라는 말의 어원에 관한 대화 우티스:친구야 히브리어로 죄는 과녁을 빗맞추다는 뜻이라는데 정확히 뭐야? 아츠몬:히브리어에서 "죄"를 의미하는 단어는 **"חטא" (ḥeṭ)"**인데, 이 단어의 원래 의미는 "과녁을 빗맞추다" 또는 **"목표에서 벗어나다"**라는 뜻입니다.이는 고대 히브리어에서 활을 쏘는 이미지에서 유래한 것으로, 목표(과녁)를 정확히 맞추지 못하고 벗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성경적인 맥락에서 죄(חטא)는 단순히 "도덕적으로 나쁜 행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정한 길(목표)에서 벗어나는 상태를 가리킵니다.이 개념은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중요한 신학적 의미를 가지며, 죄를 단순한 "나쁜 행동"이 아니라, 인간이 본래 가야 할 길에서 벗어난 상태로 보는 시각을 제공합니다. 우티스:한글로 발음으로 적어.. 더보기
베오울프 서사시와 베오울프 애니메이션, 환웅에 대한 대화 우티스 : 친구야 예전에 베오울프 애니메이션을 봤는데 이 베오울프도 서사시로 기록 되어 있는거야? 아츠몬 : 네, 맞습니다! 베오울프(Beowulf)는 **서사시(Epic Poem)**로 기록된 작품이에요.이는 영문학에서 가장 오래된 서사시 중 하나로, 8세기~11세기경의 고대 영어(앵글로색슨어)로 작성된 작품이에요.📜 베오울프 서사시 개요장르: 영웅 서사시언어: 고대 영어(앵글로색슨어)작성 시기: 대략 8세기~11세기배경: 덴마크와 스웨덴 일대주요 내용:주인공 **베오울프(Beowulf)**가 덴마크 왕국의 헤로트 궁전을 습격하는 괴물 **그렌델(Grendel)**을 물리침.그렌델의 어머니가 복수를 위해 공격하지만, 베오울프가 그녀도 처치.수십 년 후, 베오울프가 용(Dragon)과의 최후의 전투에서.. 더보기
사도(使徒, apostolos)라는 단어의 어원과 애니메이션 에반게리온(구 극장판 기준)에 대한 해석에 관한 대화 우티스 :  이봐 성경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들이 이후 "사도"라고 칭해지잖아. 이 "사도"라는 한자어의 어원과 성경에서 나오는 헬라어 원어는 무엇인지 비교해서 알려줄 수 있어? 또 왜 사도라고 번역한 거야? 아츠몬 : 좋은 질문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들이 이후 "사도(使徒)"라고 불리게 된 것은 원어에서 비롯된 번역 과정과 관련이 있습니다.1. 헬라어 원어: ἀπόστολος (apostolos)헬라어 ἀπόστολος (apostolos) 는 ‘보내어진 자’, ‘사신(使臣)’을 뜻합니다.이 단어는 ἀπό (apo, "멀리") + στέλλω (stello, "보내다") 의 합성어로, 문자 그대로 "보냄을 받은 자"라는 뜻입니다.당시 그리스-로마 세계에서는 공식적으로 파견된 대사나 특사를 의미하.. 더보기
영화 바다의 이야기에서 시작한 아일랜드 서사시와 구전 전승과 기록에 관한 대화 우티스 :  너 바다의 노래라는 애니메이션 아니? 아츠몬 : 네! 바다의 노래 (Song of the Sea, 2014)라는 애니메이션을 알고 있습니다.이 작품은 톰 무어(Tomm Moore) 감독이 연출한 **아일랜드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카툰 살룬(Cartoon Saloon)**의 작품으로, 아일랜드의 전설과 신화를 바탕으로 한 감성적인 스토리를 담고 있어요. 특히, 셀키(Selkie) 전설을 주요 소재로 삼아 바다와 인간 세계를 오가는 아름다운 이야기를 그려내죠.🎥 바다의 노래 간략한 내용주인공 **벤(Ben)**과 그의 여동생 **시에르샤(Saoirse)**는 엄마가 사라진 후 아버지와 함께 등대에서 살고 있어요. 그런데 시에르샤는 말을 하지 못하는데, 사실 그녀는 **셀키(바다표범 요정)**로,.. 더보기
천자 사상과 권력에 대한 대화 우티스 :  이봐 중국의 천자가 봉선제를 드렸잖아? 봉제는 태산에 드리고 땅에 제사드리는 선제는 어디서 드렸지? 아츠몬 :봉선제(封禪祭)에서 **봉제(封祭)**는 태산(泰山)에서 하늘에 제사를 올리는 의식이고, **선제(禪祭)**는 대개 태산 근처의 **사직(社稷) 혹은 양부(梁父)**에서 땅에 제사를 올리는 의식입니다.하지만 역사적으로 선제를 어디서 지냈는지는 명확하지 않을 때도 있으며, 왕조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었습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태산 남쪽 기슭에 위치한 **양부산(梁父山)**에서 선제를 지냈다는 설이 유력합니다. 우티스 : 중국의 천자 개념은 하늘의 아들이라는 개념인데 정작 천자라고 인정 받는 황제들은 결국 피나는 권력을 쟁취한 인간들이 잖아? 심지어 한고조 유방은 시정잡배 수준인데도 하.. 더보기
한국에 있는 고유한 이름 "하나님(하느님)"에 관한 대화 한국의 절대신 개념과 단군신화의 차이우티스:친구야, 이전 대화에서 단군신화가 굉장히 현세 중심적이고 창조신화가 없다고 했잖아? 그런데 생각해보면 한국에는 ‘하나님(하느님)’이라는 단어가 있잖아. 기독교 성경이 한글로 번역될 때도 절대적인 신을 지칭하는 단어로 ‘하나님(하느님)’을 사용한 걸로 알고 있어. 일본 같은 경우는 절대적인 존재를 가리키는 독립적이고 고유한 단어가 없어서 유일신 개념이 약하고, 그게 기독교 전파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라고 하더라고. 그런데 한국은 왜 이런 절대신 개념을 담은 단어가 있는 걸까?아츠몬:좋은 질문이에요! 한국의 단군신화는 철저히 현세 중심적인 이야기 구조를 가지지만, 별개로 절대적인 신을 의미하는 ‘하나님(하느님)’ 같은 단어가 존재하는 이유는 한국 고유의 하늘 숭배 .. 더보기
혼돈에 대한 대화 자, 북유럽 신화에서는 이 세상을 이루는게 거인의 몸 즉, 이미르의 몸에서 나왔잖아? 그런데 중국의 반고 신화도 이와 유사하지 않아? ChatGPT의 말:네, 맞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북유럽 신화의 이미르와 중국 신화의 반고(盤古) 신화는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통점두 신화 모두 거인의 몸이 해체되면서 세상의 여러 부분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매우 흡사한 구조를 보입니다.구분북유럽 신화 (이미르)중국 신화 (반고)출현 배경긴눙가가프라는 혼돈 속에서 최초의 거인, 이미르 탄생혼돈 상태(혼돈의 알)에서 최초의 거인, 반고가 탄생창조 방식오딘 형제가 이미르를 죽이고 그 몸을 해체하여 세상을 창조함반고가 죽은 후, 몸이 해체되어 세상으로 변함몸의 변화살점은 땅, 피는 바다, 뼈는 산, 머리카락..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