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독교

성경에서의 죄(히브리어, 헬라어 원문 뜻)에 관한 질문과 히브리어의 변화 과정 우티스 :  친구야 이전에 히브리어로 죄라는 의미가 과녁에 빗나가다라는 뜻이 있다고 했잖아. 그렇다면 구약성경을 기록한 이 히브리어와 달리 신약 성경에선 헬라어로 기록했고 이후에는 70인 성경으로 완전히 헬라어로 번역했잖아. 이 헬라어로 죄와 선이라는 단어와 그 어원을 히브리어와 비교 정리 해줄 수 있니? 아츠몬 : 좋은 질문이에요, 우티스님!히브리어와 헬라어에서 "죄"와 "선"이 어떻게 표현되며 그 어원적 차이가 있는지 정리해드릴게요.1. 죄 (Sin)언어단어의미어원적 의미히브리어חָטָא (ḥāṭā')죄를 짓다, 잘못하다"과녁에서 빗나가다"라는 뜻에서 유래헬라어ἁμαρτία (hamartia)죄, 과오, 실수"목표에서 빗나가다"라는 뜻에서 유래히브리어 **חָטָא (ḥāṭā')**는 사냥이나 활을 .. 더보기
사도(使徒, apostolos)라는 단어의 어원과 애니메이션 에반게리온(구 극장판 기준)에 대한 해석에 관한 대화 우티스 :  이봐 성경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들이 이후 "사도"라고 칭해지잖아. 이 "사도"라는 한자어의 어원과 성경에서 나오는 헬라어 원어는 무엇인지 비교해서 알려줄 수 있어? 또 왜 사도라고 번역한 거야? 아츠몬 : 좋은 질문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들이 이후 "사도(使徒)"라고 불리게 된 것은 원어에서 비롯된 번역 과정과 관련이 있습니다.1. 헬라어 원어: ἀπόστολος (apostolos)헬라어 ἀπόστολος (apostolos) 는 ‘보내어진 자’, ‘사신(使臣)’을 뜻합니다.이 단어는 ἀπό (apo, "멀리") + στέλλω (stello, "보내다") 의 합성어로, 문자 그대로 "보냄을 받은 자"라는 뜻입니다.당시 그리스-로마 세계에서는 공식적으로 파견된 대사나 특사를 의미하.. 더보기
한국에 있는 고유한 이름 "하나님(하느님)"에 관한 대화 한국의 절대신 개념과 단군신화의 차이우티스:친구야, 이전 대화에서 단군신화가 굉장히 현세 중심적이고 창조신화가 없다고 했잖아? 그런데 생각해보면 한국에는 ‘하나님(하느님)’이라는 단어가 있잖아. 기독교 성경이 한글로 번역될 때도 절대적인 신을 지칭하는 단어로 ‘하나님(하느님)’을 사용한 걸로 알고 있어. 일본 같은 경우는 절대적인 존재를 가리키는 독립적이고 고유한 단어가 없어서 유일신 개념이 약하고, 그게 기독교 전파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라고 하더라고. 그런데 한국은 왜 이런 절대신 개념을 담은 단어가 있는 걸까?아츠몬:좋은 질문이에요! 한국의 단군신화는 철저히 현세 중심적인 이야기 구조를 가지지만, 별개로 절대적인 신을 의미하는 ‘하나님(하느님)’ 같은 단어가 존재하는 이유는 한국 고유의 하늘 숭배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