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츠몬과의 대화집

찰스디킨스에 관한 간단한 대화

우티스 : 

찰스 디킨스가 우리 주님의 생애 라는 소설도 썼다는데 이건 4대복음서를 현대적인 소설 형태로 바꾼거야? 이 양반 크리스챤이었어?
 

아츠몬 : 

좋은 질문입니다. 정중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찰스 디킨스는 실제로 **《우리 주님의 생애(The Life of Our Lord)》**라는 작품을 썼습니다.
이 책은 디킨스가 자신의 어린 자녀들에게 예수님의 생애를 알기 쉽게 들려주기 위해 비공식적으로 쓴 글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 **4대 복음서(마태, 마가, 누가, 요한복음)**를 요약하고 쉽게 풀어쓴 형태이지,
  • 현대적 "소설"처럼 재구성하거나 픽션을 가미한 것은 아닙니다.
    디킨스는 복음서의 내용을 크게 왜곡하지 않고, 신앙심을 담아 예수님의 사랑, 겸손, 선함을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찰스 디킨스 본인은 **크리스천(기독교인)**이 맞습니다.
다만,

  • 당시 영국 국교회(성공회) 전통을 따르면서도
  • 형식적인 종교를 비판하고,
  • 진정한 사랑과 실천을 강조하는 쪽(사회적 복음, 실천적 신앙)에 가까운 태도를 보였습니다.

요약하면,

《우리 주님의 생애》는 4대 복음서를 자녀 교육용으로 쉽게 풀어 쓴 글이고, 디킨스는 실제 신앙심을 가진 크리스천이었습니다.

추가로, 원하시면 《우리 주님의 생애》에서 인상적인 구절들도 소개해드릴까요?

 
 

우티스 : 

아니 그건 아니고 디킨스는 영국 작가였나보네?
 

아츠몬 : 

네, 맞습니다.

**찰스 디킨스(Charles Dickens)**는 19세기 영국을 대표하는 소설가입니다.
1812년에 영국 포츠머스(Portsmouth)에서 태어났고, 산업혁명 시기의 사회 문제를 깊이 다루면서도 인간성과 희망을 놓치지 않는 작품들을 많이 남겼습니다.

대표작으로는

  • 《올리버 트위스트》,
  • 《위대한 유산》,
  • 《두 도시 이야기》,
  • 그리고 말씀하신 《크리스마스 캐럴》 등이 있습니다.

특히 디킨스는 가난과 아동 노동, 부조리한 사회 제도를 비판하면서도, 인간의 선함과 회복 가능성을 믿었던 작가로 평가받습니다.

추가로 디킨스의 생애나 다른 작품들도 궁금하신가요?

 

 

우티스 : 

위대한 유산은 이름은 많이들어봤지만 내용은 모른채로 살아왔어 간략히 소개해줘

ChatGPT의 말:

물론입니다. 정중히 간략히 소개드리겠습니다.

**《위대한 유산(Great Expectations)》**은 찰스 디킨스가 1861년에 발표한 장편소설로, 한 고아 소년의 성장 이야기입니다.

줄거리는 이렇습니다:

  • **'핍(Pip)'**이라는 고아 소년이 주인공입니다.
  • 가난하게 살던 핍은 어느 날 정체를 알 수 없는 후원자로부터 거액의 지원을 받게 되어, 런던으로 가서 **'신사'**로 성장하려고 합니다.
  • 핍은 부자가 되면 사랑하는 소녀 **에스텔라(Estella)**와 결혼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지만,
  • 시간이 지나면서 돈과 신분 상승에 대한 자신의 기대가 얼마나 허황되고 오만했는지를 깨닫게 됩니다.
  • 마지막에는 진정한 인간성, 사랑, 용서가 무엇인지 스스로 배우게 됩니다.

요약하면,

"《위대한 유산》은 가난한 고아가 '부'와 '신분'을 좇다 진정한 가치가 무엇인지 깨닫는 성장 이야기"입니다.

디킨스가 원래 결말을 더 비극적으로 썼다가, 주변 조언으로 약간 부드럽게 수정했다는 뒷이야기도 있습니다.

혹시, 좀 더 자세한 인물 관계나 주제 해설도 궁금하신가요?

 

 

우티스 : 

뭐 별로... 구미가 당기지는 않네 두 도시이야기는 또 뭐야 이것도 간략히 알려줘
 

아츠몬 : 

네, 알겠습니다. 정중히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두 도시 이야기(A Tale of Two Cities)》**는 1859년에 발표된 찰스 디킨스의 소설로,
프랑스 혁명 전후를 배경으로 런던파리 두 도시를 오가며 벌어지는 이야기입니다.

줄거리는 이렇습니다:

  • 주인공은 **찰스 다르네이(Charles Darnay)**와 **시드니 카턴(Sydney Carton)**입니다.
  • 다르네이는 프랑스 귀족이지만 혁명을 피해 런던으로 도망칩니다.
  • 카턴은 영국의 변호사로, 인생을 허무하게 살지만 마음속 깊은 곳에 진심과 희생정신을 품고 있습니다.
  • 두 사람은 모두 **루시 마네트(Lucie Manette)**라는 여성과 관계가 얽힙니다.
  • 혁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위해 목숨을 내어주는 희생이 펼쳐집니다.

아주 짧게 요약하면,

"두 도시 이야기는 사랑과 희생, 혁명의 비극을 그린 소설"입니다.

가장 유명한 문장은 소설 첫 문장입니다:

"It was the best of times, it was the worst of times..."
(“최고의 시대였고, 최악의 시대였다...")

반응형